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본문 바로가기

ALL73

기댓값과 표본평균 ❗️블로그 옮김: https://www.taemobang.com 방태모 안녕하세요, 제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통계학을 전공으로 학부, 석사를 졸업했습니다. 현재는 가천대 길병원 G-ABC에서 Data Science를 하고있습니다. 통계학, 시계열, 통계적학습과 기계 www.taemobang.com 기댓값은 E(X)와 같이 나타내고, 표본평균은 ˉX, ˉx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통계학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세 개념이 헷갈릴 수 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E(X)도 평균이고, ˉX, ˉx도 평균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 기호 모두 사실 다른 개념이다. 이를 확실하게 잡기위해 그 차이점을 알아보자. 1. E(X) 확률분포와 기댓값에서 .. 2020. 2. 25.
딥러닝 소개 ❗️블로그 옮김: https://www.taemobang.com 방태모 안녕하세요, 제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통계학을 전공으로 학부, 석사를 졸업했습니다. 현재는 가천대 길병원 G-ABC에서 Data Science를 하고있습니다. 통계학, 시계열, 통계적학습과 기계 www.taemobang.com 📝 prerequisite 딥러닝 머리말 이번 글에서는 딥러닝뿐만이 아닌 보다 더 큰 집합이라 할 수 있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ML),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에 대한 연구배경과 전반적 개념에 대한 소개를 하려고 합니다. 먼저, 딥러닝(deep learning, DL)이라는 분야는 비교적 최근에 대중들의 관심을 받은 기술입니다. 아울러, 딥러닝.. 2020. 2. 20.
머리말 ❗️블로그 옮김: https://www.taemobang.com 방태모 안녕하세요, 제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통계학을 전공으로 학부, 석사를 졸업했습니다. 현재는 가천대 길병원 G-ABC에서 Data Science를 하고있습니다. 통계학, 시계열, 통계적학습과 기계 www.taemobang.com 학부생 때 딥러닝이라는 키워드가 유독 핫했었고, 데이터 마이닝이라는 전공 수업에서도 짧게나마 소개되었었다. 그래서 늘 궁금했었고, 세상에서 이렇게 핫한 분야를 잘 모르고 있어서 사실 좀 불안하기도 했다. 지금은 다행히 딥러닝이 어디에 주로 쓰이며, 왜 필요하며, 기존의 머신러닝 알고리즘들이 가지고 있는 어떤 challenge를 극복했는지를 대충은 알고 있어서 불안감은 해소됐다. 그렇지만, 딥러닝이 활.. 2020. 2. 19.
이산형 확률분포 ❗️블로그 옮김: https://www.taemobang.com 방태모 안녕하세요, 제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통계학을 전공으로 학부, 석사를 졸업했습니다. 현재는 가천대 길병원 G-ABC에서 Data Science를 하고있습니다. 통계학, 시계열, 통계적학습과 기계 www.taemobang.com 몸무게, 키 등과 같이 연속적인 숫자로 분포하는 연속형 확률변수가 아닌 이산형 확률변수(e.g. 교통사고 건수)가 가지는 분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균일 분포(Uniform distribution of discrete type) 확률변수 Xn개의 이산값 {x1,x2,,xn}을 가지며 각 값들이 취할 확률이 동일한 경우, 이 확률.. 2020. 2. 17.
확률분포와 기댓값 ❗️블로그 옮김: https://www.taemobang.com 방태모 안녕하세요, 제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통계학을 전공으로 학부, 석사를 졸업했습니다. 현재는 가천대 길병원 G-ABC에서 Data Science를 하고있습니다. 통계학, 시계열, 통계적학습과 기계 www.taemobang.com "확률변수(random variable : r.v.)는 분포를 가진다" 확률변수라는 것이 정의될 때뿐만 아니라 수리통계학에서 위 개념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 확률변수(random variable : r.v.) 확률변수 X는 표본 공간에서 정의되는 실숫값을 취하는 함수(real-valued function)이다. X:SR 여기서 S는 표.. 2020. 2. 16.
#1 Data Scientist? - 통계학 전공자의 역할 ❗️블로그 옮김: https://www.taemobang.com 방태모 안녕하세요, 제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통계학을 전공으로 학부, 석사를 졸업했습니다. 현재는 가천대 길병원 G-ABC에서 Data Science를 하고있습니다. 통계학, 시계열, 통계적학습과 기계 www.taemobang.com 데이터 분석가(data analyst) 또는 데이터 과학자(data scientist)라고 표현되는 직업을 갖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직무는 어떤 역량이 필요하며, 기업에서의 대략적인 역할과 통계학 전공자가 잘할 수 있는 부분은 어떤 것인지 늘 궁금했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어느정도 파악하고 공부 또는 취업 준비를 하는 사람과 아무 생각이 없이 누군가를 따라서 나아가는 사람의 차이는 크다고 생각했.. 2020. 2. 16.